■ 잡다 스토리1
천안함 여론조사 "정부 못믿어"
영통 유태경 원장
2010. 5. 8. 03:54
천안함 여론조사 "정부 못믿어"  |
보수매체 여론조사도 "신뢰할 수 없다" |
|
|
|
-->
천안함 침몰 사건이 발생한지 한 달이 넘었지만, 이번 사건을 둘러싼 국민적 의문을 계속되고 있다. 민군합동조사단은 비접촉 수중폭발에 의한 버블제트 때문에 천안함이 침몰했다는 데 무게를 싣고 있지만, ‘좌초’ 가능성을 제기하는 전문가들도 여전한 상황이다.
문제는 정부가 사건 초기부터 ‘오락가락’ 행보와 ‘거짓말’ 논란을 이어가면서 국민 불신이 심상치 않다는 점이다. 정부가 이번 사건을 슬기롭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결론을 내건 국민적인 공감대가 우선돼야 하는데 정부 스스로 불신을 자초한 측면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천안함 침몰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을 정치적 호재로 활용하려는 의도를 내보였다는 점이다. 천안함 정국을 보수층의 안보정서를 자극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6월2일 지방선거 악재를 물타기하려는 시도를 이어가면서 야권은 강하게 반발했다.
|
 |
|
|
▲ 이명박(사진 왼쪽) 대통령과 정운찬 국무총리. ⓒ연합뉴스 |
|
| 언론이 여권의 이러한 의도를 비판적으로 접근했다면 상황은 달라지겠지만, 언론은 오히려 ‘북풍 몰이’ 주체로 나서는 모습을 보였다. 4월29일 천안함 희생장병 영결식을 계기로 뒤늦게 지방선거 불씨가 살아나고 있지만, 여권은 천안함 정국의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었다.
정부는 5월 중순 경에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한다는 방침이지만, 관건은 국민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다. 실제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정부 발표에 대한 믿음감은 떨어져 있는 상황이다.
한겨레가 지난달 10일 ‘리서치 플러스’에 맡겨 천안함 침몰원인에 대한 군의 조사결과 발표에 대해 신뢰가 가느냐는 여론조사를 한 결과, 신뢰한다는 응답은 34.9%, 신뢰가 안 간다는 응답은 59.9%로 조사됐다.
정경뉴스가 비전코리아에 맡겨 지난달 21~22일 여론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정부의 천안함 발표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24.5%로 조사됐고, 신뢰 안한다는 29.1%, 매우 신뢰 안한다는 16.3%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5.8%로 나타났다.
정부발표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20~30% 수준에 머물고 있는 셈이다. 진보-보수의 대결구도를 유도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정부 행보는 논란의 연속이었다. 국가 위기관리에 큰 구멍이 뚫렸는데도 ‘이미지 정치’에 몰두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이명박 정부는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한편에서는 4대강 사업을 강행하고자 무리수를 두는 이중행보를 보였다.
한겨레는 6일자 1면에 <4대강 공사 때문에 ‘공군 사격훈련’ 취소>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4대강 공사에 군대까지 동원한다는 뉴스도 나왔다. 이런 정부가 ‘안보’를 얘기하고 여당 인사가 국민정신 무장을 강조하는 모습은 국민 불신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우상호 민주당 대변인은 “대한민국 군인이 왜 건설토목사업에 투입되어야 하나. 이런 안보의식으로 이명박 정권이 대한민국을 이끌수 있나. 전군지휘관회의를 하면 뭐하나. 밑에 있는 부대원들은 건설토목사업에 동원하면서 무슨 안보태세를 갖춘다는 말인가”라고 지적했다.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당장 한반도에 전쟁이라도 날 듯 국민에게 온갖 긴장을 조성했던 이명박 정부는 뒤에서는 4대강 사업에 국방력을 태연하게 동원하고, 4대강 사업을 위해 군의 훈련 시간을 단축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니 국민이 이명박 정부가 하는 말을 도무지 신뢰하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KBS는 6일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한 여론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천안함 침몰에 북한이 관련돼 있다는 물음에 69.6%가 관련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주장했다. 관련이 없다는 응답은 15.5%라고 답변했다고 주장했다.
|
 |